벌써 추석 명절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특히 제사상 상차림, 차례상 상차림의 경우 놓는 순서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를 기억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그렇지 못하신 분들도 적지 않을 것입니다.
명절때마다 이른 아침 다들 검색 한번쯤은 해 보고 차례상을 차리셨던 기억이 있으실텐데요.
하여 이 글에는 설날 및 추석 명절에 차례상차림 음식 놓는 순서/ 차례 지내는 방법/ 차례상의 모든것을 쏙쏙 정리하였으니 오늘 이 글을 꼭 끝까지 읽으시고 명절때마다 헷갈리는 일이 없길 바래봅니다.
추석 명절 차례상 음식순서 차리는 방법, 위치, 방향
추석, 설날 차례상 차리는 법이라고 하여 홍동백서, 조율이시, 어동육서, 좌포우혜, 동두서미 같은 용어들이 많이 오르내리는데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것입니다.
차례상을 기준으로 홍동백서는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는 뜻이고
조율이시는 대추, 밤, 배, 감 순서
어동육서는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좌포우혜 왼쪽으로 포, 오른쪽 식혜, 동두서미 생선머리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놓아야 한다는것을 의미합니다.
차례상을 차리면 중앙 정면에 신위를 놓으며 이 앞을 기준으로 1열부터 5열까지 음식을 놓는 위치가 정해져 있습니다.
신위 앞 가장 앞 열인 1열에는 밥, 술잔, 국, 추석에는 송편, 설에는 떡국이 놓입니다.
2열에는 육전과 육적, 소적, 어적, 어전 등 육류와 생선, 전류
3열에는 육탕, 소탕, 어탕 등 탕류
4열에는 포, 삼색나물, 식혜
5열에는 대추, 밤, 배, 감, 약과 등을 놓게 됩니다.
차례상 준비 시 주의할 점
차례상과 제사상에 올리지 않는 음식들이 있습니다.
꽁치, 삼치, 갈치 등 치가 들어가는 생선과 잉어나 붕어처럼 두꺼운 비늘이 있는 생선은 올리지 않습니다.
복숭아는 귀신을 쫓아낸다고 하여 올리지 않습니다.
그 외에도 마늘이나 후추, 고춧가루 등의 향신료를 쓰지 않고 간장과 소금만으로 짜지 않게 조리해야 합니다.
하지만 제사에 대한 개념도 많이 달라져서 고인이 평소 좋아하던 음식을 올리기도 합니다.
차례 지내는 방법
차례 치르는 방법이 집안마다 다르기 때문에 어느 방법이 옳다고 하기보다
집안에서 대대로 내려오는 방법을 따르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대체적인 차례의 절차를 알려드릴게요
제사의 주인이 되는 사람을 제주 이를 돕는 사람을 집사라고 합니다.
1. 강신 : 제주가 향을 피운다.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한다.
신주를 모실 경우, 혹은 묘지에서는
아래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한다.
묘지에서는 모삿그릇 대신 땅에 뿌려도 무방하다.
2. 참신 : 기제사와 같다.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한다.
3. 헌주 : 술을 제주가 올린다.
기제사와 달리 제주가 직접 상 위에 잔에
바로 술을 따르는 것이 보통이다.
4. 삽시정저 : 떡국 혹은 송편에 수저,
시접에 젓가락을 정돈한다.
5. 시립 : 일동이 잠시 동안 공손히 서 있는다.
6. 사신 : 수저를 거둔다.
뚜껑이 있다면 덮는다. 일동이 2번 절한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르고, 신주를 썼다면
다시 모신다.
7. 철상, 음복 : 기제사와 같다. 상을 치우고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남녀 절하는 방법
남자 절하는 방법
1. 올바른 자세로 서서 두 손을 앞으로 모아 공수합니다.
이때 왼손이 위로 가게 해야 합니다.
2. 공수한 손바닥 면을 바닥에 짚으며 왼쪽 무릎부터 먼저 꿇습니다.
3. 그다음 오른쪽 무릎을 왼쪽 무릎과 가지런히 꿇습니다.
4. 왼쪽 발이 앞쪽으로 되게끔 발등을 포개며 발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습니다.
5.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를 양손의 손등에 댑니다.
6. 숙인 상태로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면서 팔꿈치를 바닥에서 뗍니다.
7. 일어설 때는 오른쪽 무릎이 먼저 세우면 됩니다.
8.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세운 다음 오른쪽 무릎에 얹습니다.
9. 오른쪽 무릎에 힘을 주면서 일어난 다음 왼쪽
발을 오른쪽 발과 가지런히 모읍니다.

여자 절하는 방법
1. 공수한 손을 어깨 높이로 수평이 되게 올립니다.
이때 오른손이 위로 가있으면 됩니다.
2. 고개를 숙여 이마를 공수한 손등에 붙여 줍니다.
3. 그다음은 왼쪽 무릎을 먼저 꿇습니다.
4. 오른쪽 무릎과 왼쪽 무릎도 가지런히 꿇습니다.
5. 오른발이 아래 되게 발등을 포갠다음,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습니다.
6. 상체 절반(45도) 쯤 앞으로 굽 펴줍니다.
7. 잠시 그 상태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킵니다.
8.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웁니다.
9. 일어나면서 왼쪽 발을 오른쪽 발과 가지런히 모아줍니다.
10. 수평으로 올렸던 손을 원 위치로
내리며 고개를 반듯하게 세웁니다.
추석을 앞두고 차례상 차림 음식 순서/차례 지내는 방법/절 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코로나로 인하여 모든 상황이 여의치 않아 고향에 못 가시는 분들도 많을 거라 생각됩니다.
민족의 최대 명절인 추석이 어쩌면 더 외로울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내년 추석에는 식구들이 모두 모여 이전처럼 왁자지껄하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추석으로 되돌아오기를 간절히 바라봅니다.
제 글을 읽어 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 없이 가능 한 [♥공감]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더 많은 생활정보 보기
2022.03.15 - [생활정보] - 장례식장 예절, 헷갈리기 쉬운 장례식장 조문 방법 총정리
장례식장 예절, 헷갈리기 쉬운 장례식장 조문 방법 총정리
어느 정도 사회생활을 할 나이가 되고 30대가 넘어가면 결혼식장 초대도 받지만 그와 비슷한 빈도로 장례식장에도 부름을 받고 가는 일이 생깁니다. 어릴 때는 부모님 손을 잡고 가던가 아니면
sky7942.tistory.com
2022.03.01 - [생활정보] - 2022년부터 공휴일 연차대체제도 폐지를 아시나요?!
2022년부터 공휴일 연차대체제도 폐지를 아시나요?!
오늘은 2022년 근로기준법 연차수당 및 연차휴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이미 2월말이라 알고 계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제 주위에는 모르는 분들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설명해 주면 엄청
sky7942.tistory.com
2022.02.05 - [생활정보] - 남은 소주 알차게 활용하는 꿀팁 5가지
남은 소주 알차게 활용하는 꿀팁 5가지
안녕하세요. 스마일찌니 입니다. 요즘 외출이 줄어들면서 특히 술집 가는 게 부담스러워지면서 집에서 혼술을 즐기시는 분들이 늘어났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먹다 남은 술이 점점 쌓이면 남은
sky7942.tistory.com
2022.03.07 - [생활정보] - 당신이 몰랐던 변기보다 더러운 물건 10가지
당신이 몰랐던 변기보다 더러운 물건 10가지
"주변에서 가장 더러운 것은 뭐가 있을까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화장실 변기를 떠올린답니다. 하지만 이보다 더러운 것이 나의 생활용품들이라는 사실입니다. 일상 속 생각지도 못했던, 변기
sky7942.tistory.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경기 가을축제 일정 총정리 (0) | 2022.10.18 |
---|---|
2022년 서울 가을축제 일정 총정리 (2) | 2022.10.17 |
2022 지방선거일 총정리 (0) | 2022.03.16 |
장례식장 예절, 헷갈리기 쉬운 장례식장 조문 방법 총정리 (1) | 2022.03.15 |
2022년 전국 봄축제 일정 총정리 (0) | 2022.03.12 |